차 운전하시면서
앞에 과속카메라가 있는데
속도를 못 줄이고 애마하게 속도를 초과하여 과속카메라를 지나가
이게 찍혔을까 안 찍혔을까
신경 쓰였던 적 참 많죠?
저 고속도로나 초행길로 가던 중
애매하게 과속을 한 적들이 있어서 참 신경쓰이더군요ㅠㅠ
오늘은 과속 단속기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.

과속시 범칙금/과태료
먼저 속도위반에는 범칙금/ 과태료 구분이 되어 있는데
이것의 차이는
범칙금: 경찰관이 현장에서 위반한 운전자가 확인되어 운전자에게 통고처분을 하는 것
과태료: 무인단속 장치로 위반한 차량이 확인되지만 운전자가 누군지 알 수 없어
그 차량의 소유자한테 통고처분을 하는 것
보통 속도위반은 무인단속카메라에 단속되시는 거니
"과태료" 처분을 아마 받으셨을 것 같습니다.
따라서 과태료와 범칙금은 벌점과 금액이 법마다 상이하니, 잘 알아보시고 납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속도위반(만원) | 20km 이하 | 20km 초과 40km 이하 |
40km 초과 60km 이하 |
60km 초과 |
범칙금 | 승용 3 승합 3 이륜 2 |
승용 7 승합 6 이륜 4 |
승용 10 승합 9 이륜 6 |
승용 13 승합 12 이륜 8 |
과태료 | 승용 4 승합 7 이륜 5 |
승용 8 승합 7 이륜 5 |
승용 11 승합 10 이륜 7 |
승용 14 승합 13 이 륜9 |
벌점 | 0 | 15 | 30 | 60 |
근거: 도로교통법 시행령
과속카메라 단속기준은 어떻게 될까?
그렇다면 단속카메라는 무슨 상황에 단속카메라 셔터를 누를까요?
보통 인터넷에 나와있는 단속기준은
1. 규정속도의 10%까지는 ok
2. 규정속도의 11km/h까지는 ok
3.단속기준이 조금 더 높아졌다 등
등 여러가지 이야기가 인터넷에 올라오고 있는데
그렇다면
제한속도(km/h) | 단속기준(km/h) | |
일반도로 | 60 | 75 |
70 | 82 | |
80 | 92 | |
90 | 106 |
또한 카메라마다 촬영하는 오차범위가 다르고,
차량이 안전을 위해 실제주행속도보다 더 빠르다고 나오기도 하며
카메라, 차 모두 오차범위가 다르기 때문에
일관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가 없습니다.
그러나
"경찰청 교통안전과"가 2017년 9월20일에
알림/소식 - 사실확인 게시판에 올라온 글을 보면

이렇듯 각 지방청마다 기준은 상이하게 때문에
무조건 해당 게시글들을 믿으면 안되고, 항상 조심히 운전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.
단속되었는지 안되었는지 확인은 언제부터?
1. 이파인
2. 경찰청 교통민원24
준비물 - 공인인증서
본인의 과태료/범칙금 등을 확인가능하며,
과속단속은 업무처리 등 기간을 고려하여 일주일정도 뒤에
조회가 가능합니다.
'생활 속 정보 > 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반려동물에 관한 법]맹견 종류, 강아지 입마개 기준 등! (5) | 2020.04.27 |
---|---|
층간소음 참아야할까?[법적기준, 해결방법, 우퍼스피커 등] (0) | 2020.04.10 |
오토바이 번호판 다는 법[등록,미부착 벌금 등] (0) | 2020.04.09 |
점유물이탈횡령죄, 떨어진 돈을 주우면 어떤 처벌을? [처벌, 성립요건, 분실물 사례금 등] (0) | 2020.04.07 |
촉법소년 이란? [처벌, 전과 등] (1) | 2020.04.05 |
댓글